관절통/디스크/만성염증
봉침이란?
벌침, 벌침요법이라고도 불리는 봉침은 정제한 벌의 독을 경혈에 주입함으로써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봉침의 역사는 무척이나 오래 되었는데요.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B. C. 460∼377)는 봉침을 사용한 기록을 남겼으며 봉독을 "Arcanum" 즉 대단히 "신비한 약"이라 불렀습니다.
갈레노스(Galen, A. D. 130-200)는 500여종의 치료법에 관한 그의 저서에 꿀벌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서 기록해 놓았으며 불란서 의사인 Dejardins는 봉독에 관한 최초의 학술논문을 "Abeille Medical ( Medical Bee Journal)"에 발표했다. 류마티스성 질환을 성공적으로 치료했습니다.
봉침의 봉독 속에는 멜리틴, 아파민, 포스포리파제 등 40여 종의 생화학적인 약성의 작용을 하는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항염작용의 효능이 있습니다. 즉 강력한 항염작용이 있어 관절주변의 염증세포를 제거하고 면역기능을 조절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또, 봉침의 봉독은 신경계의 흥분작용을 통하여 신경장애를 개선하고 혈관의 수축과 확장작용을 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뇌하수체와 부신피질계를 자극해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고 프로스타그란딘의 생합성을 억제하여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도 볼수 있습니다. 염증제거와 통증 제거로 주로 일반적인 침 치료법으로는 해소하기 어려운 통증이나 염증을 완화시켜주며, 특히 디스크와 관절염 등에 효과가 아주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유가 잘 되는 질환
1. 근육통, 근염, 섬유근염, 근막장애 통증 증후군
2. 급성 및 만성 관절염
3. 류마티즘, 류마티성 관절염
4. 신경통, 신경염
5. 목디스크, 허리 디스크
6. 항강통, 견갑통, 오십견
7. 만성 통증 증후군
8. 만성 복통, 위장질환
9. 협통
10. 기타 난치성 통증
봉침치료 시 주의사항
1. 치료 전 사전에 반드시 skin test가 꼭 필요합니다.
일부 사람들은 봉침에 대해 과민 반응하여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시술 전 테스트를 통해 알레르기 반응을 반드시 확인해야합니다. 확인 후 환자 상태에 따라, 체격에 따라 적정용량을 주입해야 합니다.
2. 봉침치료는 고도로 숙련된 기술을 보유한 전문의사에게 맡겨야 합니다.
봉침은 오랫동안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져 왔지만, 잘못 시행했을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고도로 숙련된 기술을 가진 임상경험이 풍부한 봉침치료 전문의사에게 사전 검진 후 시술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